창비
-
382. 아주 오랜만에 행복하다는 느낌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5. 3. 24. 10:00
백수린* 창비 1부. 나의 작고 환한 밤장소의 기억, 기억의 장소p13.이곳에서의 생활을 통해 내가 배운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산다는 행위가 관념이 아니라 좀더 구체적인 것들, 물질성이랄지 육체성을 가진 것들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p14.그리고 어떤 공간이 누군가에게 특별한 장소가 된다면 그것은 다름 아니라 오감으로 각인되는 기억들의 중첩 때문이라는 사실도.p21.미래 쪽으로만 흐르는 시간은 어떤 기억들을 희미하게 만들어버리기도 하지만, 장소는 어김없이 우리의 기억을 붙들고 느닷없이 곁을 떠난 사랑하는 것들을 우리 앞에 번번이 데려다놓는다. 나의 이웃들p31.나는 여전히 이 세상의 많은 비밀들에 대해 알지 못하지만, 아무리 계획을 세우고 통제하려 한들 삶에는 수많은 구멍들이 뚫려 있다는 것을 안다. 그 ..
-
294. 반통의 물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4. 7. 25. 14:49
나희덕 (시인)* 창비시인의 산문은 읽을 때마다 시를 읽는 기분이다.(★) 개인 생각 및 의견 P5.소가 자기도 모르게 내는 울음소리가 시라면, 산문은 삶이라는 뻣센 지푸라기를 씹고 도 씹는 되새김질 같은 거라고 생각해왔다.P7.그래서 이 책 속에는 ‘질문들’은 있지만 ‘대답들’은 없고 ‘순간들’은 있지만 ‘보루들’은 없다. 그 대신 나를 지나간, 또는 내가 지나온 ‘나무들’과 ‘사람들’이 있다. 고단한 삶 속에 혼자 내던져진 것 같았던 날들도 실은 그들이 베푸는 그늘 아래 있었음을 이제야 느낀다. 그 나무들과 사람들에게 이 모자란 책으로 인사를 대신한다. 제 1부. 순간들일몰 무렵P14.죽음에 대한 의식이 없어도 죽음을 체험할 수 있고, 삶을 다 겪지 않고도 삶의 조건들에 대해 체득할 수 있다는 게 내..
-
283. 빛의 호위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4. 6. 7. 10:00
조해진* 창비지난번 조해진님의 작품이 인상적이어서 동네책방에서 이 책을 보고 읽어봐야 겠단 생각을 했다. 신기하게도 책의 표지의 느낌과 같이 소설을 읽어나가는 내내 이상한 무기력함과 알 수 없는 답답함, 그 속의 찰나의 빛의 느낌이 있었던 것 같았다.그러나, 사실 이 책을 읽는데 시간이 생각보다 많이 걸렸다. 답답하면서도 뭔가... 내가 처한 상황들이 답답해서인지 그냥 소설로 읽지 못하고 그 답답함에 같이 몰입해버린 것 같은 느낌.(★) 개인 생각 및 의견 빛의 호위p25.폐허가 되어가는 동네의 외진 방에서 권은이 감당해야 하는 허기와 추위를 나는 해결해 줄 수 없었다.안방 장롱에서 우연히 후지사의 필름 카메라를 발견했을 때 일말의 주저도 없이 그걸 품에 안고 무작정 권은의 방으로 달려갔던 건, 내 눈에..
-
193. 이완의 자세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4. 4. 16. 18:31
김유담* 창비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하지만, 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우리들의 계급은 나눠져 있다. 대기업과 대기업이 아닌 곳에 다닌다던가, 고학력과 고학력이 아닌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의 차이. 개인적으로는 세신사는 모두가 공평하게 벌거벗은 곳에서도 끊임없이 노동을 하는 직업이긴 하지만, 우리가 일단 몸을 맡기면 잘 해달라고 속으로 빌어야 하는 위치가 되기도 한다. 자본주의 시대라서 나는 내 시간을 팔아 돈을 벌었다. 그리고 그렇게 번 돈으로 다른 사람의 시간을 사고 있다. 내가 요리하는 것보다 남이 시간을 투자해 만든 음식이 더 맛있고, 내가 수리하는 것보다 남이 시간을 투자해 고쳐주는 것이 더 완벽하다. 그러기 위해 나는 벌어야 했다. 그러면서 주인공의 어머니는 누구의 시간을 사기 위해 자신의 시간을 ..
-
192. 채식주의자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4. 4. 12. 11:45
한강* 창비어떤 작가들의 작품은 고통스러움을 느끼면서 읽게 된다. 한강의 이 책도 그러했다. 그리고 또 다른 작가도 한 분 계시는데, 이상하게 이 두분의 작품은 고통스럽고 불편함이 고스란히 느껴져서 손이 자주 가지 않게 되는 것 같다. 그래도 해외에서 인정을 받는다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니까. 그럼에도 다시 읽어봐도 불편하다.(★) 개인 생각 및 의견 채식주의자p40.그 때마다 나를 사로 잡는 것은 기이하고도 불길한 예감이었다. 예감이라는 것을 갖고 살아본 적 없는 둔감한 성격의 나였지만, 그 안방의 어둠과 정적은 오싹했다. 몽고반점p74.그는 오랫동안 해답을 찾아왔다. 그렇게 이 이미지로부터 달아날 수 있을 것인가를. 그러나 이것이 아니면 안되었다. 이것만큼 강렬하고 매혹적인 어떤 이미지도 존재하지 않..
-
132. 안녕 주정뱅이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1. 4. 30. 08:35
권여선* 창비인생의 어두운 면이 적나라하게 보여지는 소설이라고 느꼈다. 가장 읽기 쉬웠고 이해가 되었던 것은 라는 단편이었다. 나는 '이모'와는 다른 삶을 살고 있는 사람이지만, 한편으로는 그녀가 왜 그러는지 충분히 이해가 되었고, 한편으로는 그녀와 같이 살아야 하는 것이 맞는지 않은가 하는 생각을 요즘들어 하게 된다. 어쩌면 그녀와 나의 공통점인 췌장암으로 아픈 엄마가 있었다는 것. 그게 그런 생각을 가지게 했는지도 모른다.(★) 개인 생각 및 의견 봄밤p39. 영경의 온전치 못한 정신이 수환을 보낼 때까지 죽을 힘을 다해 견뎠다는 것을, 그리고 수환이 떠난 후에야 비로소 안심하고 죽어버렸다는 것을, 늙은 그들은 본능적으로 알았다. 삼인행(★) 주인공 간의 관계와 주인공의 병(의처증이 의심되었으나)에 ..
-
123. 달려라, 아비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0. 12. 7. 11:08
김애란* 창비소설을 관통하는 것은 아버지와 자식의 이야기. 물론 가끔은 엄마와 자식의 이야기도 나오지만, 읽으면서 공통적인 부분은 부모-자식의 이야기인 것 같다. 읽으면서 어린 시절을 떠올리기도 하고, 현재의 나와 부모님의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사건들을 곱씹게 만들었다. 책을 읽다보면 내가 기억하는 사건들 중 일부를 떠올리게 된다. 유사한 내용의 사건도 있겠지만, 생각의 흐름에 따라서는 전혀 예상하지 못한 옛 기억이 떠오르기도 하다. 아마도, 아픈 엄마의 현재에는 유년 시절과 다르게 단조로운 일상의 사건이라도 부르기도 어려운 반복적인 형태의 만남과 대화가 이어지기 때문인지도.(★) 개인 생각 및 의견 스카이 콩콩p15.바람이 불면 오랫동안 빨지 않은 녹색 커튼이 펄럭 거려다. 나는 커튼 안에 고개..
-
119. 청기와 주유소 씨름 기담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0. 12. 3. 08:16
정세랑* 창비할머니는 언제나 일을 하고 있었고 일을 할 수 있는 몸인 걸 자랑스러워했다. 뼈가 약한 다른 할머니들을 안쓰러워 하기도 했다. 할머니가 자신의 몸에 가지는 그 자부심이 너무 강해서, 나는 할머니가 잘 때 종종 앓는 소리를 낸다는 걸 도저히 말할 수 없었다. 할머니는 고통을 모른 척 했고, 가난을 모른 척 했다. 한 끗이 모자랐다. 다른 사람들의 평도 그랬고 나 자신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힘도 기술도 빠지지 않았는데 그 한 끗은 대체 뭐였을까? 그리고 그 구멍에서 신경질이 솟구쳤다.그냥 신경질이 아니었다. 그러니까 나는 한 번도 신경질을 내본 적이 없었던 거다. 제대로 신경질을 내본 적이. (중략) 내가 먼저 구기고 숨기고 모른척 했던 신경질이었다. 화를 낸 적은 있었어도 신경질을 낸..
-
109. 옥상에서 만나요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0. 11. 26. 14:52
정세랑* 창비여자는 눈에 보이지 않음에도 바퀴벌레의 존재를 느낄 수 있었다. 하는 수 없이 일부러 야근을 했고, 일찍 퇴근한 날은 까페에 가서 시간을 보냈다. (중략) 큰 돈을 들인 집에 들어가기 싫다니 어처구니 없는 상황에 너무 화가 났다. 바퀴벌레를 나몰라라 하는 남자에게도 화가 났다. 그런 상태에서 자잘한 결혼 준비를 혼자서 맡아 하다가, 결혼식 이틀 전에 터지고 말았다. "지난 한달 같은 날들이 이어지느니 여기서 멈추는 게 낫겠어"남자는 그제야 사태의 심각함을 깨달았고 썩은 싱크대를 맨손으로 뜯어내며 사과했다. 여자는 잠을 깊게 자지 못해 상한 얼굴로 드레스를 입었다. (★)여러 에피소드 중 위의 에피소드가 생각났던 것은 나와 동일한 상황이라기 보다는 남편의 대처 방식이 그 즈음에 매우 비슷했던 ..
-
98. 이만큼 가까이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0. 11. 19. 11:03
정세랑* 창비 p14.사람들은 커다란 카메라를 보면 잠시 긴장하지만, 대충 내려놓고 괴어 놓으면 이내 잊어버린다. 동영상을 찍고 있는 줄은 상상도 못하고 자연스럽게 웃고 이야기 한다. p26."가족이라고 해서 무조건 사랑할 필요는 없어. 하나도 안 사랑해도 돼"수미한테 그렇게 말한 건 민웅이었다. 마치 "그 가수 앨범의 모든 트랙을 들을 필요는 없어, 좋아하는 노래만 들어" 정도의 말을 하듯 가볍게 말했다. 민웅이가 아니면 누구도 그렇게 말하지 못했을 거다. 그런 말을, 사람을 구하는 말을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민웅이었다. p91.그렇구나, 자칫 잘못하면 인생이란 거 아주 쉽게 비루해지는구나. 아니, 웬만해서는 비루함을 피할 수 없구나. p93.인정하면 많은 것들이 편안해진다고 하던데, 정말이다. p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