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70. 인간으로 사는 일은 하나의 문제입니다 (작성중)
    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5. 2. 18. 10:00

    김영민

    * 어크로스

     

    프롤로그. 누구에게도 인생은 쉽지 않다

    p12.
    산다는 것은 고단함을 집요하게 견디는 일이다.
    p13.
    삶이 쉽지 않은 것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게 인생이기 때문이다.
    p13.
    인간은 타인과 함께하지 않고는 도저히 살아나을 수 없는 존재, 혹은 타인과 더불어 살 때에야 비로소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존재다. 즉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다.
    p15.
    인가능로 산다는 것은 하나의 문제이며, 정치는 그에 대한 응답입니다.

     

    1부.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는 어디에 있는가

    정치의 해방

    p18.
    인간이 그저 행복해지는 게 불가능할 때 정치가 시작된다. 인간으로 사는 일은 하나의 문제이며, 그 문제를 다루는 데 정치가 있다.
    p25.
    체지방처럼 어디에나 있다. 정치라는 것은.

     

    인간은 제법 '잘' 살 수 있는 존재다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

    p29.
    그러나 정치적 동물로서 인간이 말을 사용한다는 것은, 옳고 그른 것을 판별해가며 말을 하지 않는 한, 그는 아직 어엿한 정치적 동물이 아니다. 적어도 아리스토텔레스의 견지에서는.

     

    자연상태를 상상하라

    정치 이전 상태

     

    귀찮음이 기본이다

    정치의 필요

    p43.
    욕심이 있어야 인생이 있고, 인생이 있어야 욕심이 있다.
    p44.
    어떤 선망하고 욕망할 것이 있기에 사람들은 귀찮음을 이기고 세상에 나와 그 욕망의 대상을 좇는다. 마침내 경제가 돌아가기 시작하고, 정치가 필요해진다.

     

    무인도에 불시착한 아이들에게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정치의 시작과 끝

    p49.
    폐쇄된 정치 공간에서는 각종 불의와 부패가 판치기 쉽다. 외부로의 연결과 소통을 유지하는 것이 정치 공동체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이다. 그리고 인간의 선의에만 너무 의존하는 것도 현명하지 않다. 현실의 인간은 언제 어떻게 폭력적인 존재로 타락할지 모른다. 그 타락을 막을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p50.
    정치는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다.

     

    욕망과 목표가 있을 때 권력은 존재하게 되어 있다

    권력

    p52.
    모든 권력을 싫어한다는 말은 모든 욕망을 무시한다는 말이며, 모든 욕망을 무시한다는 것은 삶을 혐오한다는 것이다.
    p54.
    권력이 싫다는 말은 아름다운 말이지만 권태로운 말이다.
    p56.
    권력을 냉소할 수 있는 것도 권력이다.
    p58.
    권력은 약자로 하여금 권력의 증강현실을 체험하게 하낟.

     

    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

    권력자의 꿈

    p64.
    그래서 정치는 파워를 지향하고, 파워는 소프트 파워를 지향하고, 소프트 파워는 생각없음을 지향한다.

     

    완벽한 수박밭을 보다

    국가

    (★) 질서가 완벽한 것일까?

     

    허구와 함께 살아가는 법

    국민주권

    p74.
    세상은 악업(惡業)과 고통으로 가득하고, 삶은 종종 불쾌하다. 계속 살아가기 위해서는 무엇인가 필요하다.
    p77.
    현대의 대의 정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국민주권이라는 허구가 필요한 것처럼, 인간이 삶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허구가 필요하다.
    p77.
    허구는 삶의 필요가 요청한 믿음의 대상이다 허구를 즐기기 위해서는 허구를 믿어야 한다.
    p80.
    국민을 앞세운 이러한 정치 게임이 정착된 것은 국민주권설을 헌법의 첫 머리에 명시했기 때문이다. 헌법의 첫 부분이야 말로 그 사회가 픽션으로 받아들이겠다고 합의한 것들의 만신전(pantheon)이다. 헌법을 고민한다는 것은 단순히 권력 구조를 고민하는 일일 뿐 아니라 정치적 픽션을 고민하는 일이기도 하다.

     

    내 마음 나도 모르게

    민심

     

     

     

     

독서생활자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