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69. 벌써 마흔이 된 딸에게
    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5. 2. 14. 10:00

    한성희

    * 메이븐



    이상하게 처음에는 이 책이 잘 읽혀지지 않았다. 소위 말하면 나도 나이가 먹어 남이 이래라 저래라, 좋은 말이라도 듣기 싫어진 것인지... 아니면 지금의 내 상태가 누군가의 좋은 말도 "쳇"하고 냉소짓는 상태인 것인지... 그러다 옮겨 적는 와중에 "나이 들수록 삶은 다채로워져야 한다(p92)"가 가슴에 콕 박힌다. 

    보통의 우리는 나이가 먹으면서 단색, 혹은 회색으로 삶의 색을 표현하고 있지 않을까? 젊은 시절은 총천연색으로 묘사가 되지만, 오히려 불투명한 미래를 위해 열심히 사는 그 시절이 오히려 무채색일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이다. 그러면서 나는 오늘도 다채로운 나의 삶을 위해 무슨 노력을 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 개인 생각 및 의견


     

    Prologue. 10년 만에 다시 너에게 편지를 쓰며

    p8.
    지금이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는 초조함이 나를 짓눌렀고, 어영부영하다가는 인생이 허무하게 지나가 버릴 것만 같아 불안하기도 했다.
    p9.
    어른이 되는 과정은 사회에서 자기 자리 하나를 마련해 가는 과정이다.

     

    Chapter1. 43년간 환자들을 돌보며 깨달은 것들

    "왜 나만 희생해야 돼?"하는 억울함이 든다면

    p20.
    그러나 인생은 누구에게나 때가 되면 변화를 요구한다.

     

    마흔, 왜 우리의 삶은 여전히 흔들리는 걸까?

    p29.
    안정적인 삶도, 꿈을 이루는 삶도 중요하다. 하지만 애쓰지 않아도 누릴 수 있는 아이스크림콘 같은 행복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평온함을 준다.

     

    '너무 늦었다'는 말을 많이 하는 사람들의 공통점

    p35.
    오히려 문제는 자기에게 무엇이 성공이고 행복인지 정의하지 못할 때 생긴다.

     

    예순이 되어 가장 후회하는 것

    p40.
    그런데 지루함은 결코 나이 탓이 아니다. 다 해 봐서 뭘 해도 재미없는 게 아니다. 새로울 게 없다는 고정관념 땜누에 아무것도 새롭지 않은 것이고, 현재의 삶을 과거의 방식대로 살려고 하기에 지루한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삶을 대하는 태도 문제일 뿐이다.

     

    마흔에 자신을 돌보지 않으면 벌어지는 일

     

    "인생에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지마, 그럼 불행해져"

    p57.
    어릴 때는 무시했던 부모님의 삶, 그 보통의 무게가 이토록 무거울지 몰랐기 때문이다.

     

    과거를 탓하는 사람들이 빠지기 쉬운 함정

    p64.
    과거를 탓하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없어지고,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중략) 가장 좋은 핑곗거리는 바로 과거다. 과거는 이미 지나갔고 절대 바꿀 수 없으니까 말이다.
    p67.
    핑계를 찾는 데에 골몰할수록 낭비하게 되는 건 결국 너의 소중한 인생이라는 사실 말이야.

     

    무라카미 하루키가 마흔을 앞두고 갑자기 떠난 이유 

    p70.
    두려움은 실체가 아니라 사실은 나의 불안이 만들어낸 허상이기 때문이다.
    p71.
    삶은 늘 변화한다.
    p71.
    하지만 아무리 긍정적인 방향일지라도, 변화는 언제나 스트레스를 동반한다.

     

    Chapter2. 딸아, 네가 가장 먼저 챙겨야 할 것은 너 자신이다

    수많은 좌절을 겪으며 내가 배운 한가지

    p79.
    좌절에 굴하지 않고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든 버티다 보면 새로운 길이 열리고 인생이 새롭게 평가된다. 그러므로 삶은 정말로 끝날 때까지 함부로 판단해선 안 된다. 
    p82.
    40대의 실패가 커 보이는 이유는 그만큼 이룬 게 많아서다.
    p83.
    어떤 경우라도 너는 시련보다 강하다. 그런 마음으로 버티다 보면 끝이 없을 것 같던 어둠의 터널에도 조금씩 빛이 든다. 살아 보니 인생에는 늘 돌파구가 마련돼 있더구나. 그러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나아가거라. 그것도 벅찰 땐 그저 살아만 있으면 된다. 정말이다.

     

    40대에는 일하는 것보다 잘 쉬는 것이 먼저다

    * <피로사회>, 한병철

    p86.
    일에 대한 강박과 불안이 심신을 압도하고, 그 결과 자신은 한시도 쉴 수 없는 상황이라는 그릇된 판단이 만든 '가짜 바쁨'이라는 것이다.
    p92.
    나이 들수록 삶은 다채로워져야 한다. 

     

    네가 자꾸만 화가 나는 진짜 이유

    p95.
    흔히 분노는 위험한 감정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분노는 나 자신을 지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p97.
    화를 낼 때는 상대, 이슈, 방법이 적절해야 한다.

    * <여행의 기술>, 알랭드 보통

    p100.
    우선 화가 끓어오르는 상황에서는 그 어떤 말이나 행동도 하지 않는 게 낫다.

     

    '지나친 사람이 아이를 망친다'는 오해에 대하여

    p105.
    부모로부터 사랑을 듬뿍 받고 자란 아이는 스스로를 좋은 사람이라고 느낀다.

     

    마흔 살이 되면 스스로에게 꼭 물어야 할 질문

    p115.
    인생의 전반전은 세상이 만들어 놓은 경기장에서 선수가 되어 열심히 뛰어온 삶이라면, 인생의 후반전은 내가 마음에 드는 경기장을 스스로 만들어야 하는 시기라고 말이다.

     

    딸아, 너는 너를 위해 뭘 해주니?

    p120.
    "성희야, 그렇게 가슴 졸이면서 살 필요 없다. 남들 눈치 보지 말고 너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살아라. 다른 사람이 네 인생 대신 살아 주는 거 아니다."
    p122.
    행복 없는 희생은 공허하며, 병적인 관계로 치닫게 마련이다.

     

    '사는 게 힘들다'고 말하는 너에게 해주고 싶은 말

    p128.
    기대와 실망, 상처와 후회가 없는 삶이 어디 있을까. 그러나 인생의 빛뿐만 아니라 그림자 또한 춤의 궤적이다.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는 것을 미안해하지 말 것

    * <수상록>, 몽테뉴

     

    Chapter3. 마흔, 놓치기 쉬운 그러나 지금 돌보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들

    아무 문제 없다던 그녀는 왜 울음을 멈추지 못했을까

    p139.
    마음속의 어린아이가 바라는 건 거창하고 특별한 게 아니다. 적절한 돌봄과 안정감, 사랑과 지지가 전부다.

     

    내가 너에게 걱정 다이어리를 권하는 까닭

    p148.
    당장은 불안 때문에 불쾌하지만 그 덕분에 행동하게 되고 결국 발전할 수 있다. 
    하지만 불안이 지나치면 오히려 행동을 방해한다.

     

    나이 들수록 편안하고 부드러운 사람들의 비밀

    p157.
    어쩔 수 없는 타인의 마음, 과거 일, 세상사에 대한 집착과 걱정을 거두고, 지금 여기에서 해야 하는 일에 집중하는 것.

     

    지금 돌보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 : 콤플렉스

     

    아이와 함께할 시간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

    * <부모 번아웃>, 이자벨 로스캄

    p172.
    세상에 '좋은 엄마'란 없다. 모든 부모는 각자 자기만의 방식대로 훌륭하다.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는 사람들이 하는 뼈아픈 실수

    p175.
    기분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그것을 자연스럽게 느끼는 사람은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는 얘기다.
    p181.
    그래서 나는 네가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를 많이 알고, 그것을 적재적소에 잘 쓸 줄 알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래야 너의 삶이 메마르지 않고 생동감이 넘쳐흐르게 될 테니까, 그만큼 너의 인생이 풍부해질 테니까.

     

    그럼에도 누군가가 미워서 견딜 수 없다면

    p186.
    그러니 어렵더라도, 상대방에게 신경을 끄는 게 최고의 복수라고 믿어야 한다.

     

    부모의 인생을 이해하게 될 때 진짜 어른이 된다

     

    Chapter4.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고 묻는다면

    믿을 수 없겠지만, 나는 지금 내 나이가 참 좋다 [나이 듦]

    p203.
    완벽한 인생, 완전한 행복은 없다. 그런데 이것만 알아도 지금보다는 덜 소망하며 살게 된다. (중략) 여기서 인생의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덜 소망하면 더 오는 것. 이것이 또한 인생이기 때문이다.

     

    걱정이 많은수록 꼭 익혀 두어야 할 삶의 기술 [인생]

     

    나이 들어 하는 공부가 진짜 공부다 [배움]

     

    결혼 10년 차인 너에게 해 주고 싶은 당부 [결혼]

    p225.
    배우자는 나이 들어 가장 좋은 친구다.

     

    마흔이 넘으면 친구만큼 소중한 것도 없다 [우정]

     

    부모가 아이에게 해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 [자녀 교육]

    p237.
    수동적인 삶은 불안과 분노를 일으킨다.

     

    마흔 살 남자에게 아내의 도움이 절실한 이유 [부부 관계]

    p248.
    부부 사이에는 한족 눈을 감고 그냥 믿어 주는 게 더 효과적일 때가 있다.

     

    Chapter5. 남들이 뭐라든 그냥 네가 하고 싶은 걸 하며 살아가기를

    마흔에 시작한 일이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까닭은

    p253.
    삶의 지혜는 중요하지 앟은 것을 버리는 데 있다.

     

    누가 뭐래도 재미있게 사는 게 최고다

     

    딸아, 너는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니?

    p270.
    의미가 있어야 반복되는 일상에 지치지 않을 수 있다.

     

    사람을 얻는 가장 현명한 방법

    p278.
    딸아, 산다는 것은 상처를 입고 또 치유해 나가는 과정이다.

     

    어쩌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 "힘을 빼세요, 힘을"

    p284.
    그러므로 어떤 것이든 더 오래, 더 잘하고 싶다면 절대 무리하면 안 된다.

     

    오십이 되기 전에 정리해 두어야 할 3가지

    p288.
    실은 인생에 기본기는 바로 체력이다. 체력이 없으며 아무것도 해낼 수 없다.
    p290.
    추상적인 돈은 우리를 옭아매지만, 구체적인 돈은 살아가는 힘이 된다.
    p293.
    삶에 대한 균형 감각은 세월이 우리에게 주는 선물이다.

     

    마지막으로 너에게 해주고 싶은 말

    (★) 작가는 어머니가 자신에게 해주셨던 말로 맺음알을 했다. 읽다보니 우리 엄마가 살아 계신다면 지금 나에게 같은 말을 해주셨을까 싶다.

     

독서생활자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