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73. 아랫층에 부커상 수상자가 산다
    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5. 2. 26. 10:00

    케이트 가비노

    * 윌북 / 이은선 옮김

     

    p29.
    "폴라의 은퇴와 함께 하나뿐이던 내 편이 사라졌죠. 힘을 실어주던 그가 없으니 아무도 내 작품에 관심을 보이지 않아서 책은 결국 절판이 됐고 나도 그냥 내버려뒀어요."
    p43.
    목소리 큰 사람들 사이에서 살아남으려면 우리처럼 조용한 사람들도 가끔 나서야죠.
    p49.
    가족 다음으로 친구에게 너무 의지하는 게 아닌가 싶을 때도 있었지만 고민하지 않기로 했다.
    누군가와 함께 있으면, 내가 부족하지 않은 인간임을 증명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았다.
    여럿일 때 안정감을 느끼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였다.
    p56.
    "그런 바보 같은 세상을 바꾸는 게 너희 손에 달린 거네?"
    "그런 고생을 사서 하는 멍청이들이 있다면 바로 우리지."

    * <Goodbye to all that>, 조앤 디디온

    p63.
    "하지만 지랄 맞은 신세 한탄이 없다면 인간이라고 할 수 있겠어요?"
    p84.
    회의가 유난히 지루할 때면 이런 초조함이 사라지는 날이 과연 올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중략)
    뭐라도 해야 한다는 건 알았지만,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지 도무지 알 수가 없었다.
    갈수록 두려워졌다.
    p90.
    어렴풋한 상상에 그치지 않고 그걸 글로 쓰고 있다는 것만 해도 대단한 거예요.
    p137.
    "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자신을 파악하기 마련이고 결국에는 집에서 혼자 와인에 케이크를 먹는 편이 낫다는 걸 알게 돼요."
    p144.
    "선생님은 작가가 된 걸 후회하시는 적도 있나요?"
    "당연하죠. 사람 미치게 하는 일인걸. 아무 말이나 딱 적어 내려갔다가 머리를 쥐어뜯고 싶은 날의 연속이죠. 그런 날을 몇 개월은 겪어야 내가 천재처럼 느껴지는 그 찰나의 순간을 만끽할 수 있고요. 가성비가 아주 안 좋아요."
    p164.
    "가장 훌륭한 셀프 살풀이가 이거예요. 글쓰기."
    p176.
    "인간은 누구나 바라죠: 남들이 알아주는 것."
    218.
    "나는 종교적인 사람이 아니라 의미를 스스로 찾아내야 하는데, 글 쓰는 걸 좋아하니까 글을 써요. 맛있는 음식을 먹고 재미있는 책 읽는 걸 좋아하니까 그렇게 하고요. 좀 단순하긴 하지만 내가 카뮈는 아니니까. 절망감이 찾아올 때도 할 줄 아는 걸 하려고 해요. 글 쓰고 책 읽고 가끔 울기도 하고 당연히 잘 챙겨 먹고. 맛있는 쌀국수가 내 일주일을 바꿔놓은 기억이 얼마나 많은지 알아요?"
    p238.
    "엄마는 내가 이런 삶을 더 좋아한다는 사실에 충격받았을 것이다. 그 먼 길을 건너와 그렇게 많은 시간을 일하며 그토록 많은 원고를 쓴 이유가 나 혼자 살고 싶어서였다는 사실에."
    p268.
    "그 사진을 다시 보니까 갑자기 기운이 나더군요.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었는지 떠올랐어요."
    p277.
    "그런 아주머니가 우리 미래 아닐까?
    느릿느릿 걸어다니며 어린애들 혼을 쏙 빼놓는 아주머니 세명."
    세 친구는 말없이 술을 마시며 그런 미래를 그렸다. 그리고 기다렸다.

     

    (★)
    아래층에 부커상이나 노벨상 수상자가 살면 좋겠단 생각은 했다. 아마도 나는 지적인 대화를 꿈꾸고 싶었기 때문인지도. 
    특이하게 이 만화에는 한국식 찜찔방도 나오고 미국스러운 해고가 인상적이기도 하다. 
    그리고 보다보니 친구들의 우애가 생각나서 <청춘시대> 드라마도 생각나고, 나의 친구들도 생각이 났다. 
    가볍게 읽기 좋은 그래픽 노블이다.

독서생활자의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