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7. 그림책의 마음개인 도서관/도서관1 2024. 3. 27. 10:44
이나미, 조자현 지음
* 다산기획
정신분석학과 그림책의 만남이라는 신선한 내용이 궁금해서 펼쳐 읽기 시작했다. 그림책 서평의 언급된 새로운 관점이 흥미롭다고 생각했지만, 한편으로는 뭔가 아쉬운 점도 있는 것 같다. 아직은 많이 낯설은 분야이거나 혹은 내 무의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컨텐츠만이 있는 것이 아니어서이기도?
(★) 개인 생각 및 의견
* 책 저자 / 옮긴이 / 출판사(출판년도)
들어가는 글. 무의식의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 그림책 / 이나미
세상의 모든 현상들을 하나의 틀 안에서 설명하는 태도는 오만하다.
혹시 미운 사람이 있나요? / 이나미
<호텐스와 그림자>
* 나탈리아 / 고정아 옮김 / 다신기획(2018)
혼자가 되는 시간, 괴물을 만나는 시간 / 조자현
<괴물들이 사는 나라>
p21.
다시 말해 현재가 답답하고 무기력하다고 느껴진다면, 현재를 넘어서고 싶다면 <괴물들이 사는 나라>의 표지에 그려진 괴물이 보여 주듯 혼자가 되어 고민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모리스 샌닥 / 강무홍 옮김 / 시공주니어(2017)
비밀이 있나요? / 조자현
<알도>
* 존 버닝햄 / 시공주니어
마음속의 콤플렉스가 드러날 때 / 조자현
<검은반점>
p56.
콤플렉스는 항상 있어 왔지만, 살다 보면 특별히 힘들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유달리 자신감이 없어지고, 자신이 작아 보이는 날이 있지 않은가? (중략) 콤플렉스는 어떤 경우 자신의 고통의 기원에 대해 궁금하게 만들고, 자신을 더 알고 싶어지게 하는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정미진(글), 황미옥(그림) / 방종수 옮김 / 엣눈북스(2016)
엄마로 살며 이루지 못한 꿈과 욕망이 있나요? / 이나미
<엄마의 초상화>
* 유지연 / 이야기꽃(2014)
거울에 비친 나를 사랑할 수 있나요? / 조자현
<거울속으로>
* 이수지 / 비룡소(2009)
작은 오리를 눈여겨보는 마음 / 조자현
<아기 오리들한테 길을 비켜주세요>
* 로버트 맥클로스키 / 이수연 옮김 / 시공주니어(2017)
오래된 그리움까지 내려놓고 자유로워진 / 이나미
<밤의 숲에서>
p122.
사람은 모두 결국 저세상으로 가게 되지만, 남는 것은 그들이 남긴 사랑의 자취다. (중략) 마지막 날까지 많이 베풀고 다 주고 가서 마음뿐 아니라 몸도 가벼운 노인이 되어 새처럼 삶을 마감하고 싶다는 욕심이 든다.* 임효영 / 노란상상 (2019)
마녀와 정면으로 맞서 싸워야 하는 순간 / 조자현
<헨젤과 그레텔>
사랑한다면 찰나가 아닌 영원 / 이나미
<살아 있다는 건>
p159.
결국 살아간다는 것은 사라지는 작은 나를 넘어서 세상의 모든 생명을 가진 것을 사랑하고 아끼는 일* 다니카와 순타로(글), 오ㅋ모토 요시로(그림) / 권남희 옮김 / 비룡소(2020)
한나의 집에는 어머니가 없다 / 조자현
<고릴라>
* 앤서니 브라운 / 장은수 옮김 / 비룡소(2008)
대가를 바라지 않는 사랑이 진짜 사랑이다 / 이나미
<강아지똥>
* 권정생(글), 정승각(그림) / 길벗어린이(2014)
남자는 축구나 권투를 해야지! / 이나미
<
<터널을 통과한다는 것 - 터널> 조자현
<올리버 버튼은 계집애래요>
* 토미 드 파올라 / 이상희 옮김 / 문학과지성사(2005)
창조는 유유자적으로부터 / 이나미
<프레드릭>
* 레오 리오니 / 최순희 옮김 / 시공주니어(2017)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여행 / 조자현
<오리건의 여행>
* 라스칼(글), 루이 조스(그림) / 곽노경 옮김 / 미래아이(2017)
나가는 글 - 그림책의 마음속으로 걸어갔다 / 조자현
p237.
모든 책이나 그림을 대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책과 그림이 스스로 말하게 하라."라는 점이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강요되지 않는 자유로운 선택이 중요하다. (중략) 다만 독자는 궁금한 책을 찾아 펼치고, 확실하지 않을지라도 마음 깊은 곳에서 올라오는 무언가를 살피는 마음을 갖는 게 더 중요하다.